논어등장인물 색인
-논어에 등장하는 인물들을 가나다 순서로 정리하고
찾아보기 쉽게 인물이 나오는 편과 장을 표시했습니다.
가
簡公(간공) 壬(임): 齊나라 군주『憲問·㉒』
蘧伯玉 蘧瑗(거원) 伯玉(백옥): 공자성적도보에만 나옴. 衛나라 大夫『憲問·㉔』『衛靈公·⑥』
蘧伯玉(거백옥)의 使者『憲問·㉔』
桀溺(걸닉): 隱者『微子·⑥』
擊磬 襄(격경 양): 음식을 들 때에 음악을 연주하여 興을 돕는 관직과 사람의 이름『微子·⑨』
季康子(계강자) 季孫肥(계손비)『爲政·⑳』『雍也·⑥』『鄕黨·⑬』『先進·⑥』『顔淵·⑰⑱⑲』『憲問·⑳』
季文子(계문자) 行父(행보): 魯나라 大夫『公冶長·⑲』
季隨(계수): 周나라의 선비『微子·⑪』
季氏(계씨): 魯나라 大夫『八佾·①⑥』『雍也·⑦』『先進·⑯』『季氏·①』『微子·③』
季子然(계자연): 季氏의 子弟『先進·㉓』
季桓子(계환자)『微子·④』
季騧(계와): 周나라의 선비『微子·⑪』
皐陶(고요): 舜임금의 臣下『顔淵·㉒』
鼓方 叔(고방 숙): 음식을 들 때에 음악을 연주하여 興을 돕는 관직과 사람의 이름『微子·⑨』
高宗(고종): 商王인 武丁이다.『憲問·㊸』
公明賈(공명가): 衛나라 사람『憲問·⑭』
孔文子(공문자) 圉(어): 衛나라 大夫『公冶長·⑭』
公伯寮(공백료): 魯나라 사람『憲問·㊳』
公山弗擾(공산불요): 季氏의 家臣『陽貨·⑤』
公西赤(공서적) 子華(자화): 公西華『公冶長·⑦』『雍也·③』『述而·㉝』『先進·㉑㉕』
公叔文子(공숙문자) 公孫枝(공손지) 仲叔圉(중숙어): 衛나라 大夫『憲問·⑭⑲⑳』
公冶長(공야장) 子長(자장)『公冶長·①』
孔子(부자)께서 위험한 상황에 당하심『述而·㉒』『子罕·⑤』『先進·㉒』
公子糾(공자규)『憲問·⑰』
管仲(관중) 夷吾(이오): 齊나라 大夫, 齊桓公을 도와 覇者가 되게 하였다.『八佾·㉒』『憲問·⑩⑰⑱』
闕黨童子(궐당동자)『憲問·㊼』
棘子成(극자성): 衛나라 大夫『顔淵·⑧』
琴牢(금뢰) 子開(자개): 牢, 공자성적도보에만 나옴.『子罕·⑥』
箕子(기자): 紂王의 諸父(叔父)『微子·①』
나
南宮适(남궁괄) 子容(자용): 南容, 맹의자의 형이다.『公冶長·①』『先進·⑤』『憲問·⑥』
南子(남자): 衛나라 군주 靈公의 부인으로 음란한 행위가 있었다.『雍也·㉖』
甯武子(녕무자) 兪(유): 衛나라 大夫『公冶長·⑳』
魯太師 樂(노태사 악): 魯나라 樂官의 이름.『八佾·㉓』
다
達巷黨人(달항당인): 達巷지역 사람『子罕·②』
澹臺滅明(담대멸명) 子羽(자우)『雍也·⑫』
大夫僎(대부선)『憲問·⑲』
大師 摯(태사 지): 魯나라 악관의 우두머리『微子·⑨』
大王(태왕): 周나라 군주로 長子는 泰伯, 次子는 仲雍, 三子는 季歷이다. 季歷의 아들이 昌으로 바로 文王이시다. 大王은 왕위를 季歷에게 전하여 昌에게 미치게 하고자 하였다. 泰伯은 이것을 알고 곧 仲雍과 함께 荊蠻으로 도망하였다. 『泰伯·①』
大宰(대재): 吳나라 아니면 宋나라 사람『子罕·⑥』
마
孟敬子(맹경자) 仲孫捷(중손첩): 魯나라 大夫 『泰伯·④』
孟公綽(맹공작): 魯나라 大夫『憲問·⑫⑬』
孟武伯(맹무백) 仲孫彘(중손체): 맹의자의 아들『爲政·⑥』
孟氏(맹씨)『微子·③』
孟氏(맹씨)『子張·⑲』
孟懿子(맹의자) 仲孫何忌(중손하기): 남궁괄의 동생이며, 맹무백의 아버지『爲政·⑤』
孟莊子(맹장자) 速(속): 魯나라 大夫, 孟獻子(이름은 蔑)의 아들『子張·⑱』
孟之反(맹지반) 側(측)『雍也·⑬』
巫馬期 巫馬施(무마시) 子期(자기): 『述而·㉚』
武王(무왕)『泰伯·⑳』
文王(문왕)『子罕·⑤』
微生高(미생고): 魯나라 사람『公冶長·㉓』
微生畝(미생묘)『憲問·㉞』
微子(미자): 紂王의 庶兄『微子·①』
閔子騫 閔損(민손) 子騫(자건) 『雍也·⑦』『先進·②④⑫⑬』
바
伯适(백괄): 周나라의 선비『微子·⑪』
伯禽(백금) 魯公(노공): 周公의 아들『微子·⑩』
伯達(백달): 周나라의 선비『微子·⑪』
伯魚(백어) 鯉(리): 孔子(부자)의 아들『先進·⑦』『季氏·⑬』『陽貨·⑩』
伯夷(백이): 孤竹國 군주의 아들『公冶長·㉒』『述而·⑭』『季氏·⑪』『微子·⑧』
樊遲 樊須(번수) 子遲(자지):『爲政·⑤』『雍也·⑳』『顔淵·㉑㉒』『子路·④⑲』
卞莊子(변장자): 魯나라 大夫『憲問·⑬』
佛肸(필힐): 晉나라 大夫인 趙氏(趙簡子)의 中牟땅 邑宰『陽貨·⑦』
比干(비간): 紂王의 諸父(叔父)『微子·①』
사
司馬牛 司馬耕(사마경) 子牛(자우): 공자를 살해하려한 환퇴의 아우.『述而·㉒』『顔淵·③④⑤』
師冕(사면): 樂師인 冕『衛靈公·㊶』
四飯 缺(사반 결): 음식을 들 때에 음악을 연주하여 興을 돕는 관직과 사람의 이름『微子·⑨』
史魚(사어) 鰌(추): 衛나라 大夫『衛靈公·⑥』
三家(삼가) 三子(삼자): 魯나라 大夫 孟孫·叔孫·季孫『八佾·②』『憲問·㉒』
三飯 繚(삼반 료): 음식을 들 때에 음악을 연주하여 興을 돕는 관직과 사람의 이름『微子·⑨』
石門의 晨門(신문)『憲問·㊶』
葉公(섭공) 子高(자고): 楚나라 葉縣의 尹인 沈諸梁으로 참람하게 公이라 일컬은 것이다.『述而·⑱』『子路·⑯⑱』
昭公(소공) 稠(주): 魯나라 군주, 『述而·㉚』
少連(소련): 東夷人『微子·⑧』
少師 陽(소사 양): 음식을 들 때에 음악을 연주하여 興을 돕는 관직과 사람의 이름『微子·⑨』
召忽(소홀)『憲問·⑰』
宋朝(송조): 宋나라 公子이니 美貌가 있었다. 『雍也·⑭』
叔孫武叔(숙손무숙) 州仇(주구): 魯나라 大夫『子張·㉓㉔』
叔夜(숙야): 周나라의 선비『微子·⑪』
叔齊(숙제): 孤竹國 군주의 아들『公冶長·㉒』『述而·⑭』『季氏·⑪』『微子·⑧』
叔夏(숙하): 周나라의 선비『微子·⑪』
舜 帝舜(제순): 순임금『雍也·㉘』『泰伯·⑱⑳』『顔淵·㉒』『憲問·㊺』『衛靈公·④』『堯曰·①』
申棖(신장)『公冶長·⑩』
아
亞飯 干(아반 간): 음식을 들 때에 음악을 연주하여 興을 돕는 관직과 사람의 이름『微子·⑨』
顔路 顔無繇(안무요) 路(로): 顔回의 아버지『先進·⑦』
晏平仲(안평중) 嬰(영): 齊나라 大夫『公冶長·⑯』
顔回(안회) 子淵(자연): 顔淵, 顔子『爲政·⑨』『公冶長·⑧』『公冶長·㉕』『雍也·②⑤⑨』『述而·⑩』『子罕·⑩⑳』『先進·②③⑥⑦⑧⑨⑩⑱㉒』『顔淵·①』『衛靈公·⑩』
哀公(애공) 蔣(장): 魯나라 군주『爲政·⑲』『八佾·㉑』『雍也·②』『顔淵·⑨』『憲問·㉒』
陽膚(양부): 曾子의 제자『子張·⑲』
陽貨(양화) 陽虎(양호): 季氏의 家臣『陽貨·①』
冉求(염구) 子有(자유): 冉有 혹 冉子『八佾·⑥』『公冶長·⑦』『雍也·③⑥⑩⑫』『述而·⑭』『先進·②⑫⑯㉑㉓㉕』『子路·⑨⑭』『憲問·⑬』『季氏·①』
冉伯牛 冉耕(염경) 伯牛(백우)『雍也·⑧』『先進·②』
羿(예):『春秋傳』에는 澆(요)로 되어 있는데 寒浞의 아들로 힘이 세어 능히 육지에서 배를 끌고 다님. 夏后 小康에게 죽임을 당하였다.『憲問·⑥』
奡(오): 有窮의 군주이니, 활을 잘 쏘았다. 신하 寒浞에게 배반당하였다.『憲問·⑥』
吾黨之小子(오당지소자)『公冶長·㉑』
王孫賈(왕손가): 衛나라 大夫『八佾·⑬』『憲問·⑳』
堯 帝堯(제요): 요임금『雍也·㉘』『泰伯·⑲』『憲問·㊺』『堯曰·①』
禹(우): 우임금『泰伯·⑱㉑』『堯曰·①』
虞仲(우중) 仲雍(중옹): 大王의 둘째 아들 泰伯과 함께 荊蠻으로 감.『微子·⑧』
原壤(원양): 孔子(부자)의 친구『憲問·㊻』
原憲(원헌) 子思(자사): 原思, 중용을 지은 자사와 다른 인물『雍也·③』『憲問·①②』
衛公孫朝(위공손조): 衛나라 大夫인 公孫朝『子張·㉒』
衛公子荊(위공자형): 衛나라 大夫『子路·⑧』
衛靈公(위령공)『憲問·⑳』『衛靈公·①』
孺悲(유비): 魯나라 사람『陽貨·⑳』
有若(유약) 子有(자유): 有子라고도 불렀다.『學而·②⑫⑬』『顔淵·⑨』
柳下惠(유하혜) 禽(금): 魯나라 大夫 展獲이다.『衛靈公·⑬』『微子·②⑧』
음악과 시 관련『八佾·㉓』『述而·⑬㉛』『泰伯·⑮』『子罕·⑭』『衛靈公·⑩』『陽貨·⑱』
儀封人(의봉인): 衛나라 하급관리로 어질면서 낮은 벼슬자리에 숨은 자『八佾·㉔』
伊尹(이윤): 湯임금의 臣下『顔淵·㉒』
夷逸(이일)『微子·⑧』
林放(임방) 자구(子丘): 공자성적도보에만 나옴.『八佾·④⑥』
자
子羔(자고) 高柴(고시): 柴『先進·⑰㉔』
子貢(자공) 端木賜(단목사)『學而·⑩⑮』『爲政·⑦⑬』『八佾·⑰』『公冶長·③⑧⑪⑫⑭』『雍也·⑥㉘』『述而·⑭』『子罕·⑥⑫』『先進·②⑫⑮』『顔淵·⑦⑧㉓』『子路·⑳㉔』『憲問·⑱㉚㉛㊲』『衛靈公·②⑨㉓』『陽貨·⑲㉔』『子張·⑳㉑㉒㉓㉔㉕』
子禽(자금) 陳亢(진항) : 공자성적도보에만 나옴.『學而·⑩』『季氏·⑬』『子張·㉕』
子路(자로) 仲由(중유): 季路『爲政·⑰』『公冶長·⑥⑦⑬』『公冶長·㉕』『雍也·⑥』『雍也·㉔』『述而·⑩⑱㉞』『子罕·⑪㉖』『鄕黨·⑰』『先進·②⑪⑫⑭⑰㉑㉓㉔㉕』『顔淵·⑫』『子路·①③㉘』『憲問·⑬⑰㉓㊳㊶㊺』『衛靈公·①③』『季氏·①』『陽貨·⑤⑦⑧㉓』『微子·⑥⑦』
子文(자문) 鬪穀於菟(투누오도): 令尹의 벼슬을 한 楚나라의 上卿『公冶長·⑱』
子服景伯(자복경백): 魯나라 大夫 子服何『憲問·㊳』『子張·㉓』
子産(자산) 公孫僑(공손교): 鄭나라 大夫『公冶長·⑮』『憲問·⑩』
子西(자서) 申(신): 楚나라 公子인 申이니 楚나라를 사양하고 昭王을 세워서 정치를 개혁하고 기강을 세웠으니, 역시 어진 大夫이다. 그러나 王을 僭稱하는 칭호를 고치지 못하였고, 또 昭王이 孔子(부자)를 등용하려 하자, 이를 저지하였다. 그 후 마침내 白公을 불러들여 禍亂을 초래하였다. 『憲問·⑩』
子游(자유) 言偃(언언) 『爲政·⑦』『里仁·㉖』『先進·②』『陽貨·①』『子張·⑫⑭⑮』
子張(자장) 顓孫師(전손사)『爲政·⑱㉓』『公冶長·⑱』『先進·⑮⑰⑲』『顔淵·⑥⑩⑭⑳』『憲問·㊸』『衛靈公·⑤』『陽貨·⑥』『子張·①②⑯』『堯曰·②』
子賤(자천) 宓不齊(복부제)『公冶長·②』
子夏(자하) 卜商(복상)『學而·⑦』『爲政·⑧』『八佾·⑧』『雍也·⑪』『先進·②⑮』『顔淵·⑤』『顔淵·㉒』『子路·⑰』『子張·③④⑤⑥⑦⑧⑨⑩⑪⑫⑬』
臧武仲(장무중) 紇(흘): 魯나라 大夫『憲問·⑬⑮』
臧文仲(장문중) 臧孫辰(장손진): 魯나라 大夫『公冶長·⑰』『衛靈公·⑬』
丈人以杖荷蓧(장인이장하조)『微子·⑦』
長沮(장저): 隱者『微子·⑥』
宰予(재여) 子我(자아): 宰我『公冶長·⑨』『八佾·㉑』『雍也·㉖』『先進·②』『陽貨·㉑』
接輿(접여): 楚나라 사람, 거짓으로 미친 체하여 세상을 피하였다.『微子·⑤』
定公(정공) 宋(송): 魯나라 군주『八佾·⑲』『子路·⑮』
齊景公(제경공) 杵臼(거구): 齊나라 군주『顔淵·⑪』『季氏·⑪』『微子·③』
齊人(제인)『微子·④』
齊桓公(제환공) 小白(소백)『憲問·⑯⑰』
左丘明(좌구명)『公冶長·㉔』
周公(주공) 但(단)『先進·⑯』『微子·⑩』
紂王(주왕): 殷나라의 마지막 군주『子張·⑳』
朱張(주장)『微子·⑧』
仲弓(중궁) 冉雍(염옹)『公冶長·④』『雍也·①④』『先進·②』『顔淵·②』『子路·②』
仲突(중돌): 周나라의 선비『微子·⑪』
仲忽(중홀): 周나라의 선비『微子·⑪』
曾子 曾參(증삼) 子輿(자여): 증석(曾點. 공자의 초기제자)의 아들이자 증원의 아버지. 『學而·④⑨』『里仁·⑮』『泰伯·③④⑤⑥⑦』『先進·⑰』『顔淵·㉔』『憲問·㉘』『子張·⑯⑰⑱⑲』
曾蒧(증점) 晳(석): 曾晳, 曾子의 아버지『先進·㉕』
晉文公(진문공) 重耳(중이)『憲問·⑯』
陳司敗(진사패): 陳나라 司寇『述而·㉚』
陳成子(진성자) 恒(항): 陳恒, 齊나라 大夫『憲問·㉒』
차
祝鮀(축타) 子魚(자어): 衛나라 大夫로 말재주가 있었다.『雍也·⑭』『憲問·⑳』
漆雕開(칠조개) 子開(자개)『公冶長·⑤』
타
湯王(탕왕) 履(리): 殷나라의 군주『顔淵·㉒』『堯曰·①』
泰伯(태백): 周나라 大王의 長子『泰伯·①』
大師 摯(태사 지): 魯나라 악관의 우두머리『微子·⑨』
大王(태왕): 周나라 군주로 長子는 泰伯, 次子는 仲雍, 三子는 季歷이다. 季歷의 아들이 昌으로 바로 文王이시다. 大王은 왕위를 季歷에게 전하여 昌에게 미치게 하고자 하였다. 泰伯은 이것을 알고 곧 仲雍과 함께 荊蠻으로 도망하였다. 『泰伯·①』
파
播鼗 武(파도 무): 음식을 들 때에 음악을 연주하여 興을 돕는 관직과 사람의 이름『微子·⑨』
하
荷簣而過者(하궤이과자)『憲問·㊷』
鄕原(향원): 德과 비슷하나 德이 아니어서 도리어 德을 어지럽히는 자들『陽貨·⑬』
互鄕의 童子『述而·㉘』
或: 아무개『爲政·㉑』『八佾·⑪⑮㉒』『子罕·⑬』『憲問·㊱㊼』
桓魋(환퇴) 向魋(상퇴): 宋나라 司馬인 向魋이니 孔子(부자)를 해치려 했다. 司馬牛의 兄『述而·㉒』
아름다운 선비로 성장하여 세상을 밝히는 우리 아이들을 그려봅니다.
아름다운 선비로의 교육, 이아학당<대전 중구 오류동>이 있습니다.
굽히지 않고 자신을 지키는 것의 중요성[왕척직심X] (0) | 2014.05.16 |
---|---|
학문하는 방법[박학지,심문지,신사지,명변지,독행지/인일능지기백지,인십능지기천지] (0) | 2014.04.02 |
대학의 편차(주자께서 편집) (0) | 2014.03.14 |
서당에서는 무엇을 공부하나요?(삼강령과 팔조목) (0) | 2014.02.28 |
서당교육으로 학교성적이 향상될까요?(삼강령에 대하여) (0) | 2014.02.24 |
댓글 영역